에너지전환정책에 따른 중소기업 경력전환 지원 및 해체 전문인력 양성
원전해체 산업 육성전략 발표 (2019. 4. 17.)에 따른 국내 원전해체 분야 생태계 조성 및 기술역량과 산업기반 조성 유도
전문 과정 | 전문엔지니어 자격 | 각 기술별 현장실무 전문가 자격 부여 | 전문엔지니어 자격 | ||
---|---|---|---|---|---|
해체계획수립 해체물량산정 비용평가 해체공정 방사선특성조사 피폭평가 |
화학제염 분사연마제염 초음파제염 플라즈마제염 전해연마제염 |
SAW절단 고압수절단 전단기절단 플라즈마절단 산소절단 원격정밀제어 3D 인터페이스 |
콘크리트감용 금속용융 폐기물안정화 특수폐기물처리 H3/C14처리 방사성측정 |
시료대표성평가 규제해제 방사능현장측정 부지재이용평가 최종부지상태평가 토양지하수복원 |
|
실무 과정 | 엔지니어 지원 자격 | 각 기술별 전문가 지원 자격 부여 | 부지복원 지원 자격 | ||
사업관리 엔지니어링 특성 평가 환경관리 방사선관리 |
계통제염 기기제염 콘크리트 제염 산업/작업안전 해체원전정보 규제지침 |
기계적 절단 열적/전기적 절단 원격제어 산업/작업 안전 해체원전정보 규제지침 |
고체액체기체 폐기물처리 특수폐기물처리 폐기물재활용 산업/작업 안전 해체원전정보 규제지침 |
잔류방사선측정 부지복원 부지 규제해제 |
|
기본 과정 | 해체사업 참여 자격 | 해체현장 출입/참여 자격 부여 | 해체사업 참여 자격 | ||
해체계획 개요 해체엔지니어링 산업/방사선안전 규제체계/요건 각종 평가/분석 |
제염/해체기술 폐기물 관리/감용 기술 규제지침/해체원전 정보 해체원전 상태 일반장비사용(호이스트 등) 유해/화학물질 취급 |
해체계획/개요 운영단계지침서 방사선방호 산업 및 작업안전 화재방호 비상조치/대피로 |
해체계획 개요 산업/방사선안전 규제체계/요건 각종 평가/분석 현장작업 |
||
구분 | 설계·인허가 | 제염 | 해체 | 폐기물 처리 | 부지복원 |
해체 전 단계 | 해체 단계 | 해체 후 단계 |
과정명 | 대상 | 일정/장소 | 기간 | 비고 |
---|---|---|---|---|
원전해체기술교육 (기본 실무) |
기관/기업 재직자 및 퇴직자 40명 | 4월 / 국내 | 5일간 | 고리1호기 현장견학 |
해외 현장교육 | 기관/기업 재직자 및 퇴직자 20명 | 6월 / 독일 | 4박 6일 | 독일 칼스루에 공대 (Karlsruhe Institute of Technology) 및 Greifswald 원전 시찰 |
원전해체기술교육 (기본 실무) |
기관/기업 재직자 및 퇴직자 40명 | 12월 / 국내 | 5일간 | 월성1호기 현장견학 |
번호 | 제목 | 작성일 | ||
---|---|---|---|---|
등록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