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의 안전성과 필요성에 대한 논의의 장 마련
- 저장시설 확충을을 위한 전문가의 역할 논의 및 지역주민 의견 수렴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의 안전성과 저장시설 확충을 위한 전문가의 역할을 논의하기 위한 제3차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정책 포럼'이 8월 30일 광주광역시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렸다. 1, 2차 정책 포럼은 고준위방사성폐기물 특별법 제정의 필요성 논의 및 안전관리 방안 모색을 위해 지난 7월 각각 서울과 부산에서 개최된 바 있다. 한국원자력산업협회가 주관하고, 한국원자력환경공단, 한국수력원자력,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가 후원한 이날 행사에는 산업계, 학계, 연구계 및 광주지역 인사 등 50여 명이 참석했다.
첫 번째 발표에 나선 한국원자력연구원 국동학 핵연료안전연구부 책임연구원은 “건식저장은 별도의 전원 없이 자연대류를 통해 냉각하기 때문에 지진 등의 자연재해, 나아가 테러와 같은 인재에도 안전하다.”며, “지역주민들의 우려는 이해하지만 건식저장이 많은 원전 운영국가에서 이미 도입됐고, IAEA 같은 국제기구에서 안전성을 인정하는 보편화된 기술임은 분명하다.”고 부연했다.
이어서 발표한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육대식 해체·사용후핵연료규제실 실장은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의 전 주기 규제 절차를 소개하며, “원전 부지 내 건식저장시설과 중간저장시설의 설치시 요구되는 인허가는 다르지만, 적용되는 안전규제 기준은 실질적 차이가 없다.”고 설명하였다. “단적으로 건식저장용기 설계승인시 적용되는 안전규제는 아예 동일하다고 평가”하고, 인허가의 차이를 이유로 두 시설의 안전성을 달리 평가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한국수력원자력(주) 김준곤 사용후핵연료부 부장은 현존하는 월성 건식저장시설 운영 현황을 발표하며, “월성 건식저장시설은 1992년에 운영을 시작한 이래 30년 넘게 안전하게 운영 중”으로, “규모 7.0 지진에도 견딜 수 있는 내진성능을 갖췄고, 건식저장시설이 파괴되어 사용후핵연료가 공기중에 노출되는 최악의 사고가 발생해도 제한구역경계에서의 피폭선량은 흉부 X-ray 촬영시 피폭선량의 5분의 1인 0.02밀리시버트 수준이다.”고 설명하였다. 현재 건식저장시설 주변의 방사선량은 시간당 0.1마이크로시버트로서 서울의 평균 방사선량과 유사하다는 점도 덧붙였다.
마지막 발표자로 나선 경희대학교 정재학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미국의 경험을 상세하게 소개하였다. “원전 운영 초기에는 재처리를 고려하여 사용후핵연료 습식저장시설을 소규모로 설치하였으나, 1977년 카터 행정부가 상용 재처리의 중단을 선언하며 건식저장이 대두”되었고, “1986년 Surry 원전에서 건식저장을 도입한 후 여러 차례 동 기술에 대한 안전성이 입증되며, 현재 70개 원전에서 약 4만여 톤의 사용후핵연료를 저장 중이다.”고 설명하였다.
발표에 이어 진행된 패널토론에서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강문자 학회장은 “방사성폐기물 문제의 해결에 있어 주민과 국민의 설득이 가장 중요하다.”며, 이를 위해서는 현재 기술 수준을 정확히 이해하고 실행 가능한 기술을 정확한 데이터로 전달할 수 있도록 전문가들이 역할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기조 강연자이기도 했던 단국대학교 이병식 에너지공학과 교수는 우리나라가 직면한 상황과 건식저장시설의 여러 장점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 역시 너무 늦기 전에 건식저장시설 확충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원전지역 주민들은 원전 부지에 설치되는 건식저장시설의 ‘영구화’를 우려하고 있는 만큼, “특별법을 제정하여 원전 부지 내 사용후핵연료 반출 시기를 정하고, 국가 차원에서는 중간저장시설과 처분시설을 마련하기 위한 노력을 다해야 주민들도 안심할 수 있을 것”이라며, “법률을 통해 주민들과 약속하고, 그 약속을 지켜나가는 게 이 문제를 해결하는 유일한 길이다.”고 언급했다.
이번 포럼에 이은 4차 포럼은 ‘원전해체’를 주제로 오는 9월 말 개최될 예정이다.